연예문화 관련뉴스

이애주한국전통춤회 ‘법열곡’이 이끄는 환희용약의 길

뉴스포커스 0 34


서울--(뉴스와이어)--오는 5월 25일 오후 5시 서울남산국악당에서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법열곡’ 공연이 펼쳐진다.

‘법열곡’ 공연 포스터
‘법열곡’ 공연 포스터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승무’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승무’
이애주 명무와 한국전통춤회의 ‘승무’
이애주 명무와 한국전통춤회의 ‘승무’
김연정 예술감독
김연정 예술감독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예능보유자 이애주 명무의 ‘승무’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예능보유자 이애주 명무의 ‘승무’
이는 한국춤 역사의 맥을 잇는 뜻깊은 공연으로, 1971년 벽사 한영숙 선생이 동시대 예술인들에게 강렬한 영감을 주며 국립극장에서 올린 ‘한영숙춤 법열곡’이 그 첫째고, 20여 년이 지난 1994년 문예회관대극장에서 스승의 예술혼을 이은 그의 맏제자인 고(故) 이애주 선생이 펼친 ‘이애주춤 법열곡’이 그 둘째고, 다시 30년이 흐른 2024년 그의 제자들이 스승이 화두로 쫓은 춤의 원리와 승무에 내재한 ‘법열의 미학’을 탐색하고자 준비한 ‘법열곡’이 그 셋째다.

인문학자 이두현은 당시 ‘한영숙춤 법열곡’을 보고 “불교의식무의 법통이 조선말의 한성준 옹으로부터 그 손녀인 한영숙에게 이어져 오늘 그 제자들과 더불어 무대화됐다는 것은 감개무량한 바가 없지 않다”고 했다. 또한 민속학자 임동권은 ‘이애주춤 법열곡’에 대해 “좋은 춤이란 남에게 보여주기 위한 춤이 아니라 스스로 내면의 감춰진 세계를 밖으로 내뿜는 춤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이애주의 춤이 그러했다고 평했다.

법열(法悅)은 ‘불법(佛法)을 듣거나 생각하거나 행함으로써 생겨나는 가없는 환희’를 뜻한다. 우리 전통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히는 승무(僧舞)가 바로 이 법열을 구현한 우리춤의 정수(精髓)다. 한영숙 선생과 이애주 선생이 나란히 ‘법열곡’을 통해 승무에 내재한 ‘법열의 미학’을 추구했던 과정이 잊힌 지금, 선생의 제자들은 영산재 전승교육사이자 이애주 선생의 법열곡에 함께 출연한 일운스님에게 오랜 기간 작법무를 학습하면서 전통춤의 단순한 복원·계승을 넘어 재창조와 확장의 시도를 보여준다.

김연정 예술감독은 “선대 스승님들과 대중들을 모시고 불법을 담는 과정으로 바라춤, 나비춤, 법고춤을 쌓아갑니다. 그리고 승무에 다다르게 되죠. 승무는 한 알의 씨앗이 땅속에서 싹을 내고 줄기를 세우고 열매를 맺고 다시 땅으로 돌아가는, 긴 듯하지만 찰나인 우리의 인생처럼 무상·무아의 생생한 생명 변화의 연속인 우주법계의 원리를 담고 있습니다. 불교 작법무를 학습하고 승무를 추면서 몸에서 피어나는 깨달음의 환희, 비워냄으로써 충만해지는 법열 속에서 스승님들을 만나고 싶었습니다”라며 ‘법열곡’의 부제 ‘마음 하나에 펼쳐진 우주’의 뜻을 전했다.

이번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법열곡’에서는 일운스님과 지허스님, 해사스님, 회정스님, 기원스님이 특별출연해 불교의식무를 함께 공양하고, 이애주 선생의 제자들은 40분에 이르는 한영숙-이애주 류 완판 승무로써 궁극의 평화, 법열의 의미를 새긴다.

이애주문화재단(이사장 유홍준)이 후원하고 이애주한국전통춤회(회장 윤영옥, 예술감독 김연정)가 주관하는 이번 공연은 3대에 걸쳐 천착하고 있는 ‘우리춤 원류 찾기’, 이애주한국전통춤회의 첫 번째 여정이다.

서울남산국악당 홈페이지(www.hanokmaeul.or.kr)에서 공연을 예매할 수 있으며 단체, 예술인, 학생 할인이 가능하다.

◇ 김연정 예술감독

본 공연의 예술감독을 맡은 김연정은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이애주 선생과 연을 맺기 시작했고, 이후 계속 전통춤 춤추기와 연구에 매진해왔다. 한영숙 류 이애주 맥 승무 이수자인 김연정은 이애주한국전통춤회 부회장, 한영숙춤보존회 부회장으로 있으며, 이애주문화재단 산하 이애주춤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 이애주한국전통춤회

이애주한국전통춤회는 이애주 승무 예능보유자의 제자들로 구성됐으며, 한성준-한영숙-이애주로 이어지는 춤을 중심으로 전통춤의 수련과 올바른 전수, 그리고 동시대와 소통할 수 있는 우리춤을 목적으로 결성된 우리춤 중심단체다. 1991년 7월 승무 강습회와 ‘이애주춤 이야기 한판’(호암아트홀)을 시작으로 한국전통춤회 정기 및 비정기 공연을 500여 회 이상 개최했으며, 매년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및 다양한 기획행사를 해왔다.

2021년 이애주 선생 타계 이후 이애주 선생의 춤과 정신을 올곧게 이어가고자 오랜 시간 함께 활동했던 제자들이 모여 앞으로의 발전적 방향을 고민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우리 춤의 본질 파악과 전통춤의 올바른 전승, 춤을 통한 몸과 마음 수련을 목표로 하면서 한국적 미의식에 대한 고찰과 역사의식을 바탕으로 동시대인과 함께하는 전통춤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최근 한국전통춤회는 승무, 태평춤, 살풀이춤, 학무 등 전통춤을 원형 그대로 보여주거나 재구성해 전통춤의 뿌리이자 원류 한성준 선생과 손녀 한영숙으로 이어지던 전통춤의 맥이 이애주 선생을 거쳐 제자들에게까지 이어주고 있음을 보여줬다. 특히 짧은 호흡의 무대 공연 환경에서 ‘완판 승무’ 등 긴 호흡의 전통춤 맥을 잇고 있다.

◇ 이애주

이애주 선생은 1954년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의 수장 김보남과의 인연으로 춤을 익히기 시작했다. 서울대학교 진학 후 승무 초대 예능보유자였던 벽사 한영숙의 맏제자로 입문해 1996년 국가무형문화재 제27호 승무예능보유자로 지정됐다.

우리 전통춤(승무, 살풀이, 태평춤, 태평무)의 맥을 계승하고 그것의 법통을 수호하기 위해 평생 노력을 다했으며, 한국무용사에서는 한성준 바탕 한영숙 류 이애주 맥이라는 굵직한 계보를 만든 인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다른 한편으로 그는 민주화 열기로 가득찬 1980년대에 ‘바람맞이춤’, ‘썽풀이춤’ 등의 시대춤을 선보이며 예술로써 현실사회에 참여하는 실천적 전범이었으며, 그의 몸짓 하나하나가 모여 ‘시대의 춤꾼’이 됐다.

1991년 한국전통춤회를 창립해 전통춤 정립을 위해 노력하는 한편 후진의 교육과 양성을 위해 왕성하게 활동했다. 서울대학교 교수, 경기아트센터 이사장 등을 역임했고, 2021년 이애주문화재단을 설립한 후 같은 해 5월 10일 타계했다.

이애주문화재단 소개

이애주문화재단(이사장 유홍준, 상임이사 임진택)은 시대의 춤꾼 이애주 선생이 우리 곁을 떠나기 전 전통문화예술 발전을 위해 설립한 공익단체다. 재단은 한성준 바탕 한영숙 류 이애주 맥의 전통춤 전승을 지원하는 한편, 이애주 선생이 실천으로 보여준 역사맞이춤을 발전시켜 전통예술·현대예술의 창작 지평을 보다 넓게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더불어 이애주 선생의 바람대로 무용 뿐 아니라 음악·연극·미술 등 다양한 문화·예술이 협력하는 공동체를 만들고, 건강한 문화·예술인을 발굴 육성하는 데 노력하고자 한다.

웹사이트: http://www.leeaeju.com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