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교 관련뉴스

웹케시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기관 정기 워크숍’ 참여… 연구기관 전용 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RP’ 소개

뉴스포커스 0 80


웹케시가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기관 정기 워크숍에서 연구기관 전용 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RP’를 소개했다
웹케시가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기관 정기 워크숍에서 연구기관 전용 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RP’를 소개했다
서울--(뉴스와이어) 2023년 07월 25일 -- B2B 핀테크 전문 기업 웹케시(대표 강원주)가 ‘2023년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기관 정기 워크숍(이하 워크숍)’에서 연구기관 전용 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RP’를 소개해 큰 호응을 끌어냈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NFEC)가 주관하는 이번 워크숍은 대학교 산학협력단 및 연구원과 같은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기관이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를 원활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기 행사다.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는 연구기관이 연구과제 기간 시설·장비 운영에 필요한 재원을 미리 적립해 두고 연구과제가 종료된 뒤 △유지·보수 △임차·사용대차 △이전·설치비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연구기관은 해당 제도 도입 시 산학협력단의 연구지원체계평가 가산점이 부여된다.

6월 29일 메종글래드 제주에서 열린 워크숍에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관련 제도 및 시스템 담당자 90여명이 참석했다. 이틀간 열린 행사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안내 △통합관리제 추진 경과 및 변경 규정 안내 △연구기관 전용 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 ‘rERP’ 소개 등으로 진행됐다.

웹케시는 52개 대학교 산학협력단과 19개 연구원의 연구시설·장비비 관리 담당자들이 참석한 자리에서 ‘rERP’ 도입 시 자동화되는 통합관리 업무 프로세스와 주요 기능 등을 설명했다.

웹케시의 ‘rERP’는 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학병원 같은 연구기관의 연구행정 업무를 손쉽게 관리할 수 있게 지원한다. 연구관리, 연구성과, 지식재산권, 회계, 인사급여,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 학생인건비 관리 등 연구기관의 전반적 업무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처리할 수 있다.

또 ‘rERP’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제 관련 전산 시스템 구축 요건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게 특징이다. 현재 52개 전국 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운데 19개 기관이 ‘rERP’를 도입해 연구 업무에 대한 효율을 높이고 있다.
 
강원주 웹케시 대표는 “rERP는 연구시설·장비비 통합관리 과제 수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징수 누락을 줄일 수 있어 산학협력단의 업무 효율성 향상과 비용 절감을 가져온다”며 “웹케시는 국가 연구개발(R&D) 재원으로 도입한 연구장비 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웹케시 소개

웹케시는 IMF 이전 부산, 경남 지역을 연고로 전자 금융을 선도하던 동남은행 출신들이 설립한 핀테크 전문 기업으로, 1999년 설립 이후 20년간 국내 최고 기술 및 전문 인력을 바탕으로 비즈니스 소프트웨어(SW) 분야의 혁신을 이뤄오고 있다. 웹케시는 설립 후 지금까지 다양한 혁신 기술과 서비스를 선보여왔다. 2000년 편의점 ATM 및 가상계좌 서비스, 2001년 국내 최초 기업 전용 인터넷 뱅킹, 2004년 자금관리 서비스(CMS) 등은 현재 보편화한 기업 금융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뿐만 아니라 업계 최초로 B2B 핀테크 연구 센터를 설립해 사례 조사, 비즈니스 상품 개발 및 확산, 금융 기관 대상 핀테크 전략 수립 컨설팅 등 분야 전반에 걸친 연구 및 컨설팅 업무를 수행하며 B2B 핀테크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웹케시의 대표 서비스인 CMS는 초대기업부터 공공기관, 대기업, 중소기업까지 특화해 있으며 기존에 마땅한 SW가 없던 소기업용 경리 전문 SW ‘경리나라’를 출시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해 중국, 캄보디아, 일본에 3개의 현지 법인을 운영하고 있다.

rERP 홈페이지: http://rerp.co.kr/rerp/html/index.html

웹사이트: http://www.webcash.co.kr

0 Comments
카테고리
투데이포스팅